이 글은 沼上幹 「競争戦略の考え方」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9의 내용을 필자 나름대로 설명한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의 자녀가 '참새는 왜 날 수 있나요?'라고 질문한다면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혹시 '참새는 새라서 날 수 있단다', 혹은 '참새는 날개가 있어서 날 수 있단다'라고 대답해 주지는 않았는가? 뭐, 자녀가 유치원생 정도라면 그 정도의 답변으로도 일단은 괜찮지 않을까 싶은데, 만약 초등학생 이상이라면 그러한 답변으로는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자녀에게 '카테고리 사고법'을 심어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카테고리 사고법'이란, 어떠한 대상의 특성을 그 대상이 속해 있는 카테고리의 일반적 특성으로 유추하는 것, 이다. 확실히 대부분의 새는 날 수 있고, 대부분의 날개가 있는 것들이 ..
외국에 나갈 때 비행기를 타면서 보잉의 비행기이니 엔진도 보잉이 만들었거니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은 이번에 알게된 사실이다. 항공기의 엔진은 보잉이나 에어버스가 아닌, GE나 롤스로이스, 프랫&휘트니와 같은 회사들이 만들고 있었다. 이번 이야기는 항공기 엔진 업계, 그 중에서도 GE에 관한 것이다. GE는 항공기 엔진 사업에서 많은 이익을 벌어들이고 있다. 동 사는 어떻게 그러한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했던 것일까? 결론을 미리 이야기하면, GE는 항공기엔진 제조와 금융을 융합함으로써 이익이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글은 沼上幹+一橋MBA戦略ワークショップ[2017]「市場戦略の読み解き方」 제5장, GEの「稼ぐ」製造業の作り方의 내용을 필자 나름대로 요약・정리하고 필자의 생..
몇 년 동안 저유가 상태가 지속되더니, 최근 몇 달간 기름값이 오르고 있다. 사람들이 흔히 '기름값이 오를 때는 빨리 오르고 내릴 때는 늦게 내린다'라고 하며, 정유사나 주유소를 비난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필자의 가설을 소개한다. 우선, '기름값이 오를 때는 빠르게 상승하고, 내릴 때는 천천히 내리는 현상'의 말이 길어지니 이러한 현상을 이하에서는 '유가변동의 시차'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자. '유가변동의 시차' 현상에 대한 필자의 가설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의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사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생각할 때 가장 처음 해야 하는 작업이 있다. 그것은 바로 그 현상이 진짜로 일어난 것인가를 확실이 하는 것이다. 그야말로 '유가변동의 시차'가 그냥 사람들이 그렇게 느끼는 것 일..
- Total
- Today
- Yesterday
- PhotoView
- 제약이론
- 성장 벡터
- 날 수 있는 이유
- 성질이 급한 물고기
- 물고기가 바로 죽는 이유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국내유가
- 물고기가 빨리 죽는 이유
- 타오바오
- 자율주행
- 설득의 진짜 의미
- 엘리 골드렛
- 줌 상태 저장
- 항공기엔진
- 코틀린
- 해외직구
- 앤소프
- 비행기엔진
- 앤소프 매트릭스
- 성장 전략
- 범죄 감소
- 기업 전략
- 포토뷰
- 시간과 공간
- Kotlin
- 기업 성장
- 알리익스프레스
- 미래의 힘
- 스코프 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